StringTokenizer의 delim (2번째 parameter가 delim임)
ex) StringTokenizer stk=new StringTokenizer(str,"-=");
-, =, -=, =-.. 이런 식으로 -나 =로 이루어진 모든 것들을 구분자로 처리함
spring boot postmapping?getmapping 용도
post는 보통 form같은 곳에 넣어서 전달할 때 쓰고요,
get은 조회할 때 씁니다
StringTokenizer와 split의 차이
stk가 더 빠름, but 순서대로 처리해야 하고 뒤로 돌아갈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
split은 더 느림, but 배열의 index를 이용해서 원하는 element에 접근 가능, 정규식도 사용 가능
그래프문제 DFS,BFS로 해결 안하고 for문으로 일단 돌아가게만 해보려다가 호되게 혼남..
이거 for문으로 하면 감염된 pc의 index가 아직 감염됬다는 것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에 for문이 돌아갈 경우 몇개 체크가 안됨.. 즉 for문으로 할 경우 감염된 사실을 나중에 알 수도 있는 index번호가 낮은 pc를 미리 for문으로 돌려버릴 경우에 오직 그 pc로만 connected된 인접한 pc들은 감염됐다는 사실이 체크가 되지 않는다..
(디버깅이 개꿀인 점이.. 이런거 천천히 보니까 왜 틀렸는지 알 수 있음)
그래서 DFS,BFS 정석으로 해줘야함
역시 직접 해보니까 왜 DFS,BFS가 있는지 알 수 있었고
나같이 얌생이처럼 for문으로 가라로 돌리려고 하면
(그렇지만.. 정석의 방법을 모를 때 내가 어떻게 해결하는가 그것도 알고 싶었다)
왜 체크가 안되는지 알 수도 있어서 좋았다..
'무지성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지문제 ■GCC (0) | 2021.07.22 |
---|---|
■variable --> 0 개념 ■SSH란..? (0) | 2021.07.18 |
■Singleton패턴의 객체를 외부에서 생성했을 때 생기는 오류 (0) | 2021.07.15 |
■SpringBoot의 정형화된 패턴 ■인텔리제이 변수추출 단축키 (0) | 2021.07.15 |
■프롬프트 ■커널 ■concurrentHashMap은 언제 사용..? ■filebeat ■데이터파이프라인 ■kafka (0) | 2021.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