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은 3가지 박스를 동기화하는 작업 ■ UTF-8 간단 설명

2022. 2. 28. 23:38· 무지성 메모
728x90

[작업영역] -(add)> [인덱스(index)영역] -(commit)> [헤드(Head) 영역]

 

비유 ; 인덱스 - 사진,사진,사진.. / 헤드 - 사진첩

 

Git은 단순하게 잉야기하면 위의 3가지 박스를 일치시키는 것(동기화)이 Git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3가지 박스를 동기화하는 작업..

 

 


[UTF-8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변 길이 유니코드 인코딩]

 

옛날에는 a-z/0-9/특문등 1바이트면 충분했음 한글도 2바이트면 충분

 

근데 중국 문자가 10만자가 넘어서 3바이트가 필요..

 

// 

우선 Unicode = United Codepage Charset? 정도로 할 수 있는데요.
원래 영어는 1byte를 쓰지만, 중국어나 일본어 한국어 경우에는 2byte를 차지 하게 됩니다. 또 영어를 쓰는 codepage에서는 다른 나라 언어를 읽을 수가 없지요.
그래서 나온게 통합코드페이지 (UNICODE)입니다.
이것은 모든 글자를 2byte로 표시하게 만들어서 어떠한 글자라도 표시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영어를 쓰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했습니다. 1byte면 되는 영어글자를 2byte나 들여야 한다는건 공간낭비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만든것이 UTF-8입니다.. utf-8은 unicode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영어는 1byte로 쓸 수 있게 만든 codepage입니다.

그래서 어떠한 글자라도 UTF-8로하면 공간절약도 되고, 모든 글자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무지성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yaml파일이란 무엇인가..? (.yml)  (0) 2022.03.04
■ HTTP API?? REST API??의 차이? ■ MIME타입 ■ @Controller @RestController  (0) 2022.03.03
■ 스프링 IoC(제어의 역전)  (0) 2022.02.28
■ list의 요소 수정하기  (0) 2022.02.27
■ [백엔드 면접] 개발상식 (좋은 코드란 무엇인가, 객체 지향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0) 2022.02.25
'무지성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yaml파일이란 무엇인가..? (.yml)
  • ■ HTTP API?? REST API??의 차이? ■ MIME타입 ■ @Controller @RestController
  • ■ 스프링 IoC(제어의 역전)
  • ■ list의 요소 수정하기
배게
배게
백엔드배게 님의 블로그입니다.
배게
백엔드
배게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430)
    • 알고리즘 풀이 (338)
      • 백준 (167)
      • Codility (22)
      • 프로그래머스 (123)
      • LeetCode (2)
      • CodeForces (9)
      • SWEA (15)
    • 백엔드 (11)
    • Coding existing for (3)
    • 무지성 메모 (40)
    • Debug (30)
    • 자바 (8)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카카오톡 txt파일 정렬
  • hibernate
  • MYSQL
  • 카카오톡
  • 카톡 내보내기한 파일 정렬
  • 카톡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1
배게
■ Git은 3가지 박스를 동기화하는 작업 ■ UTF-8 간단 설명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