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Debug
안되는 이유 후보들 - com.cos. 이하의 컴포넌트 스캔이 안되는 패키지로 만들었다 - project rebuild를 해줘야 하는데 안했다 이것저것 눌러보다가.. 프로젝트 컴파일한다음에 제대로 성공한 후에 다시 @Entity해보니까 성공함 그럼 도대체 왜 처음에는 되지 않았던 것일까..? 그냥 넘어가기에는 너무 짜증났음 별 것도 아닌 주제에 왜 막혔는지 알고 싶었다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data-jpa pom.xml의 위 jpa 관련 dependency를 다시 주석처리함 -> 그 후에 boot application실행 -> 다시 @Entity써봄 -> 첫번째 사진처럼 @Entity 안읽힘 결론 : pom.xml에 depency 수정 후 바로 ..
출처 :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6184 xml과 Json파일 포맷은 많이 들어보셨는지요? 아마 많이 쓰고 계실거로 생각됩니다. 그럼 이런 포맷들은 왜 사용할까요? 그걸 먼저 설명드리면, 우리가 타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 포맷에 대한 약속이 필요합니다. 혼자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내부 시스템끼리는 임의의 규칙을 세워서 데이터를 주고 받아도 됩니다. 문제는 타 시스템들과의 연동을 할 때입니다. 내부에서 세운 임의의 규칙을 타 시스템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마다 그 규칙을 문서로 주고 받기도 번거롭고, 데이터 규칙에 대한 문서들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xml이나 Json같은 데이터 포맷을 정의하고 그 포맷에는 규칙도 있습니다. 좀 정신..
안녕하세요. rkskqksk님 HTTP API와 REST API는 사실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차이가 있습니다. HTTP API는 HTTP를 사용해서 서로 정해둔 스펙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신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상당히 넓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REST API는 HTTP API에 여러가지 제약 조건이 추가됩니다. REST는 다음 4가지 제약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REST) - 자원의 식별 - 메시지를 통한 리소스 조작 - 자기서술적 메서지 -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대한 엔진으로서 하이퍼미디어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부분이 마지막에 있는 부분인데요. 이것은 HTML..
[작업영역] -(add)> [인덱스(index)영역] -(commit)> [헤드(Head) 영역] 비유 ; 인덱스 - 사진,사진,사진.. / 헤드 - 사진첩 Git은 단순하게 잉야기하면 위의 3가지 박스를 일치시키는 것(동기화)이 Git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3가지 박스를 동기화하는 작업.. [UTF-8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변 길이 유니코드 인코딩] 옛날에는 a-z/0-9/특문등 1바이트면 충분했음 한글도 2바이트면 충분 근데 중국 문자가 10만자가 넘어서 3바이트가 필요.. // 우선 Unicode = United Codepage Charset? 정도로 할 수 있는데요. 원래 영어는 1byte를 쓰지만, 중국어나 일본어 한국어 경우에는 2byte를 차지 하게 됩니다. 또 영어를 쓰는 codepage..
스프링 IoC (제어의 역전) 너(프로그래머)가 new해서 메모리에 띄우지마 내(SpringFramework)가 할게 싱글톤 패턴 + 레퍼런스 변수 관리 등을 스프링이 한다 스택에서 만든 모든 객체는 전부 지역변수가 관리하기 때문에 이 지역 변수는 다른 스택에서 사용할 수 없다. 사용하려면 메소드의 return값으로 빼주거나 함수 외부에 변수를 미리 선언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말고 SpringFramework인 내가 할게 (이게 제어의 역전) 패키지를 스캔함 ex) com.cos.blog @SpringbootApplication이 속해 있는 패키지내의, 어노테이션이 달려있는 컴포넌트들을 모두 스캔 기본 패키지 이하에 추가 패키지를 만들어야함 ex) 기본 패키지 : com.cos.blog 새로운 패키지..
· Debug
springboot프로젝트의 application.properties (경로 : src/main/resources/application.properties) 에서 spring.datasource 제대로 안해줘서 생긴 에러 spring.datasource.url=jdbc:mysql:tcp://localhost:3306/cos-blog (url설정인데 여기서 실패하는 것 같음 tcp도 뺴줘야할듯) spring.datasource.username=cos (아이디) spring.datasource.password=cos1234 (비밀번호)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com.mysql.cj.jdbc.Driver (드라이버 클래스 이름com.mysql.cj.jdbc.Driver..
· Debug
MySQL이 해당 ip주소에 running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라고함 그 다음 2번 port3306 누가 쓰는지 확인 서비스에 MySQL80이 실행 중이 아니었음.. 이게 자동으로 원래 실행이 안되는건가? 하여튼 시작 눌러주니까 이번에는 'MySQL80 서비스가 로컬 컴퓨터에서 시작했다가 중지되었습니다. ...........' 이전에 도커 공부하면서 썼던 ubuntu서버가 사용하던 port3306이 아직도 사용되있는가 하면서 이것저것 눌러보다가 작업관리자의 mysqld 프로세스 끝내고 다시 서비스가서 MySQL80 실행하니까 성공 왜 안되는지 모르고, 이것저것 눌러서 성공 한다음에 넘어가는건 별로 좋은 습관은 아니나 코딩과 관련된 디버깅도 아니고 툴설정과 관련된 거라서 그냥 되는게 좋은 거라고 패스함
· Debug
작업 관리자 - 서비스 - 아래 부분 '서비스 열기' 클릭 - 'MySQL 80' 찾아서 시작 눌러서 '실행'상태로 mysqld가 프로세스에 켜져 있어야 DB Connection 가능
· Debug
참고 : https://mondaysickness.com/2019/11/01/mysql-workbench-%EC%A0%91%EC%86%8D-%EC%95%88%EB%90%A0-%EB%95%8C-%ED%95%B4%EA%B2%B0-%EB%B0%A9%EB%B2%95-your-connection-attempt/ username을 실제 사용 중인 user로 바꿈 내 경우에는 'root'에서 'cos'로 바꾸니까 성공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 String[] str124 = new String[]{"4","1","2"};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while(n>0){ sb.append(str124[n%3]); n = (n-1)/3; } return sb.reverse().toString(); }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Line:10 n=(n-1)/3; 여기 논리가 진짜 말도 안된다..ㅠ충격 먹엇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배게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8 Page)